실제 쿠버네티스로 서비스 운영을 하면서 많이 사용하거나 들은 리소스들을 정리하고 앞으로 순서대로 알아보려고 한다.

 

1. Node : 컨테이너가 배치된 pod들을 실행시키는 서버

2. Namespace : AWS로 치면 VPC로 물리적인 서버들을 나누는 것처럼 namespace 를 이용하여 가상클러스터를 형성한     다.

3. Pod : kubernetes 객체 모델 중 가장 작은 배포단위 객체. 1개 이상의 컨테이너를 포함

4. replicaset : pod개수에 대한 가용성을 보장해준다. 똑같은 정의를 갖은 Pod를 다수개 생성하고 관리해준다.

5. deployment : replicaset보다 위의 개념으로, pod와 replicaset을 선언적으로 관리할수 있도록 해준다. 보통 배포의 단                       위가 된다. replicaset에 대한 버전관리도 제공.

6. service : 실행되고 있는 pod들에 접근하기 위해 사용하는 기능이다. 

7. ingress : 클러스터안의 service에 외부로 부터 접근하는 것을 관리하는 API 객체. 보통 HTTP이며 로브밸런싱 등 여러                 기능 지원

8. configmap : key -value 형태로 non-confidential Data를 저장할때 사용하는 API 객체이다. pod는 configmap을 환경                     변수, command-line arguments, configuration file로 사용할 수 있다.

9. persistent volumes : pod가 사용할 스토리지의 크기 및 종류를 정의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