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모든 글은 내가 이해하고, 메모장 개념으로 작성하는 것이라 틀린 부분도 많고, 뒤죽박죽입니다. )

 

Performance Testing에는 대략 6가지의테스트로 나눌 수 있다.

 

1. Load Testing

2. Endurance Testing

3. Volume Testing

4. Scalability Tesing

5. Spike Testing

6. Stress Testing

 

좋은 사진이 있어서 가지고 왔다 ( 출처 : https://abstracta.us/blog/performance-testing/how-to-make-a-performance-test-plan/ ) 

 

먼저 Performance Testing 이란 무엇일까 " 시스템 구성 요소가 특정 상황에서 어떻게 수행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는 테스트" 이다. 

 

테스트를 통해서 제품의 자원 사용률, 확장성, 안정성 등 많은 것들을 검증할 수 있다.  또한 제품의 설계 및 아키텍처의 성능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점을 둔다.

 

< Load testing > 

 

목적 :  극한의 상황까지 부하를 주어서 시스템의 내구성을 테스트하고 결과를 모니터링하기 위함 

목표 : 버퍼 오버플로우, 메모리 누수 및 메모리의 잘못된 관리와 관련 응용 프로그램들의 결함을 노출시킨다. 이러한 이슈들은 Load Testing의 결과를 산출하는데 load balancing problems, bandwidth issues, 시스템의 Capacity 등이 포함된다.

 

즉, 시스템이 한계에 도달 할 때까지 부하를 지속적으로 증가시켜 테스트하는 방법이다.

Volume Testing과 비슷하지만 Volume Testing은 주로 데이터베이스의 성능에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일이 생겨서 밤에 다시 하기로

'성능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능테스트와 비지니스  (0) 2019.10.04
Thread Dump는 무엇이고 언제 하는가?  (0) 2019.10.02
다시 시작  (0) 2019.10.02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