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우선 조건 : 사용자의 복잡한 질문,여러 툴을 이용해야해도 완성도 있게 대답해야 한다.
- 오케스트레이터 노드: 사용자 입력을 최초로 받아 처리 방향을 결정하는 중앙 제어 장치
- 플래닝 노드: 복잡한 작업을 여러 단계로 분해하여 실행 계획을 수립
- 전문 에이전트 노드들: 각각 특정 도구나 서비스에 특화된 8개의 에이전트 (그라파나, 로키, 템포, 아르고시디 등)
- 밸리데이션 노드: 결과의 완성도와 정확성을 검증
- 응답 노드: 최종 결과를 사용자 친화적으로 요약하여 제공
보완하면 좋을 만한 부분들:
- 컨텍스트 관리: 사용자와의 대화가 이어질 때 이전 대화 컨텍스트를 어떻게 유지할지 고려가 필요함. 예를 들어 "그 중에서 메모리 사용량이 가장 높은 것만 보여줘"와 같은 후속 질문에 대응할 수 있어야 함 -> 메모리세이버 등 이용
- 에이전트 선택 메커니즘: 오케스트레이터가 어떤 에이전트를 호출할지 결정하는 로직이 중요. -> 프롬프트 강화
- 실패 처리 메커니즘: 특정 에이전트가 실패하거나 정보를 가져오지 못할 경우에 대한 대처 방안이 필요.-> 고민 필요
- 사용자 피드백 루프: 사용자가 결과에 만족하지 못할 경우 시스템이 어떻게 개선 방향을 찾을지에 대한 고려가 필요 -> 고민 필요
- 병렬 처리: 여러 에이전트를 동시에 실행하여 응답 시간을 단축하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음 -> 멀티 처리 적용
- 중간 결과 제공: 복잡한 질문의 경우 최종 답변까지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으므로, 중간 진행 상황이나 부분 결과를 제공하는 기능이 유용할 수 있음 -> add 메세지를 구현하고 st.session_state를 이용하여 화면에 실시간 출력
- 에이전트 확장성: 새로운 에이전트를 쉽게 추가할 수 있는 구조인지 확인. 향후 새로운 도구나 서비스를 통합할 필요가 있을 수 있음 -> 고민필요
코드 구현은 차차 할 예정, 랭그래프, 랭체인, 제미나이 예정
'AI' 카테고리의 다른 글
[devopsTool] K6 MCP설계 (0) | 2025.05.09 |
---|---|
[devopsTool] k6, argocd 시나리오 수립 (0) | 2025.04.20 |
[Agentic AI] 랭그래프 기반 개발을 해보며 생각한 것들 (개인 생각 정리 공간) (1) | 2025.04.19 |
[devopsTool] MCP와 오픈소스들을 활용한 개발자 도구 만들기 (1) | 2025.04.12 |
LLM모델들을 이용해 개발할때 필요한 내용들을 기록할 예정... (0) | 2025.0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