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테이너에 관련해서 알아볼텐데, 도커를 기반으로 정리할 예정이다.
$docker run -it --name docker-test centos:7 bash
위와 같이 입력하면 docker-test라는 이름으로 도커컨테이너가 기동이 되며, centos:7 이미지가 로컬에 없으면 원격 레포지토리에서 이미지를 다운로드 한다. 이때 원격 레포지토리는 프라이빗 레지스트리로 사용할 수도 있으며 Harbor와 같은 오픈소스를 이용하기도 하고, AWS ECR같은 퍼블릭 서비스를 이용하기도 한다.
docker run과 관련된 옵션은 아래와 같이 있다.
-i | 키보드 입력을 표준입력에 연결하여 키보드 입력을 컨테이너의 쉘 등에 보낸다. |
-t | 대화형 조작이 가능 |
-d | 백그라운로 실행 |
--name | 이름 설정 ( 미설정시 자동 ) |
--rm | 컨테이너 종료시 자동으로 삭제 |
-p | 포트포워딩 |
-v | 볼륨마운트 |
컨테이너 목록은 docker ps 를 사용해서 출력한다.
다만 이미 종료된 목록은 -a 옵션을 주어야 한다.
docker id나 name을 통해서 stop, restart, start, logs, rm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다.
로컬에서 만든 이미지나 다운받은 이미지를 원격 레포지토리에 보관하는 경우 push를 사용할 수 있으며,
프라이빗 저장소를 사용한다면 사전 설정이 필요하다 harbor 같은 경우 아래 공홈을 참고하자
https://goharbor.io/docs/1.10/working-with-projects/working-with-images/pulling-pushing-images/
그리고 버저닝 관리와 운영의 편의성을 위해 태그를 붙이는 것을 추천한다.
docker tag 명령어를 사용한다.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커컨테이너 만들기 (0) | 2022.08.01 |
---|---|
도커 다루기 (0) | 2022.08.01 |
쿠버네티스의 기본 구성 (0) | 2022.07.26 |
1. 쿠버네티스 설치 ( rancher 이용 ) (0) | 2022.07.19 |
[docker] 내가 헷갈리는 docker 정리 (0) | 2021.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