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이번에는 Dockerfile을 통해 도커컨테이너를 실행시켜보자.
vi Dockerfile을 통해 만든다.
1. FROM alpine:latest
2. RUN apk update && apk add figlet
3. ADD ./message /message
4. CMD cat /message | figlet
위와 같이 설정했다.
1.번째 라인은 도커 베이스 이미지로 alpine 최신버전을 사용한다는 의미이다.
2.번째는 RUN을 통해 특정 cli명령어를 실행시키는 부분이다.
3. ADD는 파일시스템을 추가하는 부분이다.
4. CMD는 컨테이너 기동시 실행할 커맨드를 지정하는 것이며 cat이 실행된다.
CMD 와 ENTRYPOINT 차이는 검색해보자
Dockerfile을 만들었으면 이미지를 만들어야 한다.
docker build--tag test:v0.1 .
위와 같이 실행하면 test의 이름와 v0.1 태그로 이미지가 생성이 된다.
이후 앞선 설명화 같이 docker run 을 하면 실행이 된다.
docker ps 를 하면 실행중인 도커컨테이너를 볼 수 있다.
dockerfile을 만드는데 필요한 cheet들은 아래 글을 참고하자.
https://kapeli.com/cheat_sheets/Dockerfile.docset/Contents/Resources/Documents/index
dockerfile을 이용하는 이유는 다양하겠지만 개인적으로는 멱등성이라고 생각한다. 하나의 이미지를 사용하는 모든 사람들은 배포시 같은 환경이 되어야 한다. 또한 Iaac ( infra as a code)라는 개념과 같다. 인프라를 code로 관리하여 버저닝하는것이 운영에도 유리하다.
'쿠버네티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니페스트 (0) | 2022.08.08 |
---|---|
pod에 관해서 (0) | 2022.08.08 |
도커 다루기 (0) | 2022.08.01 |
docker 간단 정리 (0) | 2022.08.01 |
쿠버네티스의 기본 구성 (0) | 2022.07.26 |